우리나라는 제조업 기반의 성장 정책으로 경제성장을 이룩했다. 그 과정에서 전문대학은 500만 명 이상의 전문직업인을 양성해 산업 현장에 배출함으로써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여 왔다. 그러나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입학자원 감소, 제조업에서 서비스산업 중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등에 따라 전문대학의 운영 방식과 교육과정을 개편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됐다. 이와 더불어 저출산·고령화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평생교육 수요를 충족시킬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전문대학을 고등직업교육 중심기관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이 추진됐다. 전문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각종 정책이 마련됐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대표적인 재정지원 사업이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SCK)이다.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은 2014년부터 2019년 2월까지 5개년 추진되는 사업으로 현재 83개교에 지원되고 있다. 이 사업은 크게 두 가지 정책 목표를 갖고 있었다. 우선 학령인구 저하와 맞물린 입학자원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특성화계열 위주로 대학구조개혁을 추진해 전문대학 운영방식을 혁신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선택과 집중’ 원칙에 따라 대학의 역량을 특성화 계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사업이 설계됐다. 대학이 보유한 비교우위를 자체적으로 판단해 설정한 특성화 계열 육성 전략을 지원해, Ⅰ유형, Ⅱ유형 참여 대학들은 특성화 계열에 70% 이상 정원을 집중하고 있으며 세부적인 자체 특성화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Ⅲ유형 참여 대학들은 대학 강점을 살린 ‘특성화 프로그램’을 집중 육성해 브랜드화하고 있다.
기사원문보기 : http://news.joins.com/article/22195083